본문 바로가기
메가IT아카데미 국기과정/리눅스와 시스템보안

[1-9] 리눅스 디스크 파티션

by 한님폐하 2022. 9. 11.

1. 파티션의 목적

  • 루트 파티션 손상시 다중 파티션를 이용하여 데이터 보호, 백업, 복원이 가능하다.
  • 서로 다른 파티션에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.
  • 파일 시스템 점검 시간 및 부팅 시간 단축

 

2. 파티션 구성

  • 주파티션
    • 기본적인 파티션이기 때문에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으며, 확장 파티션까지 포함하여 총 4개까지만 생성할 수 있다.

 

  • 확장 파티션
    •  파티션 5개 이상 필요한 경우 사용하는 파티션이다.
    • 저장 공간이 별도로 없으며, 논리 파티션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.
    • 확장 파티션은 1개만 사용이 가능하며, 마지막 파티션을 확장 파티션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

 

  • 논리 파티션
    • 확장 파티션에 의해서 분리된 논리적인 파티션, 최대 15개까지 가능하다.

 

3. 파티션 분할 실습

  • 디스크 추가 : sdb, sdc, sdd, sde, sdf, sdg
  • 리눅스에서는 장치들을 파일로 관리하며, /dev 디렉토리에 있다. 이때, 디스크 관련 장치 파일은 SCSI 방식이므로 'sd'로 시작한다.
  • 디스크 용량 : 200MB
  • 디스크 타입 : SCSI
df -h
# 장치 파일들은 ls -l를 실시하면, c 또는 b로 출력된다. (c : 캐릭터 디바이스 파일, b : 블락 디바이스 파일)
# 일반 파일은 용량이 표기되지만 장치 파일은 주 디바이스 번호, 부 디바이스 번호로 출력된다.

fdisk /dev/sdb
# m #(for help)
# n #(for new)
# p #(for primary)
# e #(for extended)
# 1 #(for partition number)
# +50M #(for sector size)
# d #(for delete)
# w #(for save)
# p #(for 확인)

fdisk -l /dev/sdb