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LVM이란?
- 다수의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디스크로 동작하거나 여러개의 디스크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기능
2. LVM 구성 단계
- 선정한 디스크(파티션)의 시스템 타입을 LVM을 지정하여 파티션을 생성한다.
Command (m for help): t
Selected partition 1
Hex code (type L to list all codes): L
Hex code (type L to list all codes): 8e
- PV를 생성하고 확인한다.
pvcreate /dev/sdc1 /dev/sdd1
pvdisplay
- VG를 생성하고 확인한다. (데이터 블럭이 4MB이므로 4의 배수로 생성해야 한다.)
vgcreate TEST_VG /dev/sdc1 /dev/sdd1
vgdisplay -v
- LV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.
vcreate -L 398M -n TEST_LV TEST_VG # 4의 배수인 400MB 조정되서 자동으로 생성된다.
lvdisplay
- LV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.
mkfs -t ext4 /dev/TEST_VG/TEST_LV > /dev/null
- LV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한다.
mkdir /mnt/test
mount /dev/TEST_VG/TEST_LV /mnt/test
df -h
3. LVM 삭제 단계
umount /mnt/test
rm -rf /mnt/test
lvremove /dev/TEST_VG/TEST_LV
vgremove TEST_VG
pvremove /dev/sdc1 /dev/sdd1
# '/dev/sdc', '/dev/sdd' 파티션 정보도 삭제한다.
'메가IT아카데미 국기과정 > 리눅스와 시스템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-13] 패키지 관리 (0) | 2022.09.11 |
---|---|
[1-12] Raid 디스크 구성 (0) | 2022.09.11 |
[1-10] 파일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 (0) | 2022.09.11 |
[1-9] 리눅스 디스크 파티션 (0) | 2022.09.11 |
[1-8] 리눅스 프로세스 (0) | 2022.09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