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gzip
gzip -r # 디렉토리이면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압축
gzip -S # 압축 파일을 '*.gz' 파일이 아닌 다른 파일로 생성
gzip -d # 압축 해지할때 사용
gzip -f # 기존 압축 파일이 있어도 무시하고 압축 파일 생성
gzip -v # 압축 통계/진행 출력
gzip -k # 원본 파일을 유지하여 압축
gunzip # 압축 해지 및 압축 파일 내용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
zcat # 압축 파일 내용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
2. bzip
bzip -d # 압축 해지할때 사용
bzip -v # 압축 진행 출력
bzip -k # 원본 파일을 유지하여 압축
bunzip2 # 압축 해지 및 압축 파일 내용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
bzcat #압축 파일 내용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
3. tar
tar -c # 아카이빙 실시
tar -x # 아키이빙 해지
tar -f # 아카이빙 파일 지정
tar -z # 아카이빙 이후 gzip으로 압축
tar -j # 아카이빙 이후 bzip2로 압축
tar -v # 진행 출력
tar -t # 아키이빙 파일 내용 확인
4. zip
zip
unzip
'메가IT아카데미 국기과정 > 리눅스와 시스템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-6] 리눅스 퍼미션 (0) | 2022.09.11 |
---|---|
[1-5] vi 편집기 (0) | 2022.09.11 |
[1-3] 계정 생성 및 관리 (0) | 2022.09.11 |
[1-2] 리눅스 기본 명령어 (0) | 2022.09.11 |
[1-1] 리눅스 설치 (0) | 2022.09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