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준비물 : VmWare-Fusion, CentOS.iso 파일, 약간의 인내심과 여유시간
1. 목표 : 리눅스 실습을 위한 네트워크, 커널(SecureCRT) 설정을 한다.
2. 리눅스 설치
2-1. 로컬의 VmWare-Fusion 프로그램(윈도우의 경우 VmWare)(https://customerconnect.vmware.com/downloads/info/slug/desktop_end_user_computing/vmware_fusion/12_0)을 열고, 미리 다운로드 받아둔 CentOS.iso 파일(https://www.centos.org/download/)을 넣어준다.
2-2. 리눅스의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기본 설정은 다음과 같다(각자의 기호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.). 단, root 계정의 비밀번호는 한번 설정하면 바꾸기 어려우므로 잘 기억할 수 있는 것으로 해둔다.
- RAM : 2G
- CPU : Dual Core
- Network : NAT(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VmWare의 NAT8의 맨 끝자리 IP가 된다.)
- Hard Disk : 20G
- DNS Server : 168.126.63.1
2-3. 설치가 끝나면 위측상단의 Activities -> Terminal을 누르고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방화벽을 해지한다.
2-3-1. 네트워크 설정과 확인
nm-connection-editor & #GUI기반 네트워크 설정
ifconfig #ip addr(ip 확인)
route -n #ip route(gw 확인)
cat /etc/resolv.conf #(dns 서버 확인)
ping -c 5 168.126.63.1 #(인터넷 연결 확인1)
nslookup www.google.com #(인터넷 연결 확인2)
★ 만약 IP 주소가 안보이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.
nm-connection-editor &
# 이더넷 -> ens33 -> 일반 -> 'Connect automatically with priority' 체크 -> 저장
nm-connection up ens33
reboot
2-3-2-1. SELinux 모드 변경
setenforce 0
gedit /etc/selinux/config & #SELINUX=permissive
getenforce
sestaus
2-3-2-2. 방화벽 기능 해지
systemctl stop firewalld #지금 중지
systemctl disable firewalld #앞으로 중지
systemctl disable --now firewalld #지금 & 앞으로 중지
systemctl status firewalld
2-4. 원활한 윈도우 환경을 위해 'gnome-tweaks' 패키치 설치와 터미널 환경을 설정한다.
2-4-1. httpd', 'gnome-tweaks' 패키치 설치 및 윈도우 환경 설정
yum -y install gnome-tweaks
gnome-tweaks &
# 확장 -> 모든 기능에 체크한다 (상단 레이아웃이 보인다)
# 프로그램 -> 시스템 도구 -> 설정 -> 개인정보 -> 화면잠금 : 끔 (자동 셧다운 방지1)
# 프로그램 -> 시스템 도구 -> 설정 -> 개인정보 -> 전원 -> 절전 -> 빈화면 : 안함 (자동 셧다운 방지2)
2-4-2. 터미널 환경 설정과 아이콘 생성
2-4-2-1. 터미널 환경설정을 해준다.
gedit .vimrc &
set nu #(라인 번호 표시)
set ts=4 #(tab은 4칸 띄기)
set title #(제목 표시)
colo delek #(색 설정)
syntax on #(하이라이트)
:wq
cp .vimrc /etc/skel #(다른 계정에도 위의 설정 적용)
gedit .bashrc &
alias vi='vim' #(vim을 vi로 쓰겠음)
alias ls='ls --color=auto --time-style=long-iso' #(ls의 의미 정의)
PS1="[\u@\h \$PWD]# " #(프롬프트 표시 내용 정의)
PS1="\[\e[31;1m\][\u@\h\[\e[31;1m\] \w]# \[\e[m\]"
export PS1 #(PS2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)
:wq
source .bashrc #(설정을 적용하는 명령어)
2-4-2-2. 터미널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만들어준다.
+ Other Locations -> Computer -> usr -> share -> applications -> Terminal : Ctrl+C -> 바탕화면에 Ctrl+V -> 'org.gnone.Ter...' r/c -> Allow Launching
2-5. 'SecureCRT' 세션 정보 생성
SecureCRT 실행 -> 폴더 r/c -> 'New Folder' : 'Server1' 으로 생성 -> 'Server1' 폴더 r/c : New Session ->
Session Options -> New :
- Name, Hostname, ANSI Color 체크, Use color scheme 체크, 나눔고딕코딩, 스크립트 '한글', utf-8
2-6. 클론과 컴퓨터이름/네트워크 세팅
hostnamectl set-hostname Server2
'메가IT아카데미 국기과정 > 리눅스와 시스템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-5] vi 편집기 (0) | 2022.09.11 |
---|---|
[1-4] 압축 및 아카이빙 (0) | 2022.09.11 |
[1-3] 계정 생성 및 관리 (0) | 2022.09.11 |
[1-2] 리눅스 기본 명령어 (0) | 2022.09.11 |
[목차] 리눅스와 시스템 보안 (0) | 2022.09.11 |